트럼프, 애플 시설투자 계획 발표 행사서 반도체 100% 관세 부과
"미국에 공장 건설하면 관세 안 내도 된다"...한국 "최혜국 우대 약속 받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6일 반도체에 100%의 품목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애플의 대미 시설투자 계획 발표 행사에서 기자와의 문답시간을 갖는 과정에서 "우리는 반도체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집적회로(chips)와 반도체(semiconductors)"가 부과 대상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제조 공장을 미국에 건설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 출처 - 백악관
사진 출처 - 백악관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구체적인 부과 시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반도체는 대미 수출 품목 중 자동차, 일반기계에 이은 3위 수출품으로 100% 관세가 실현되면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같은 한국 제조 반도체 기업은 물론, 이와 관련된 소재, 장비 제조 업체 등 협력사까지 큰 타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TSMC 등 글로벌 반도체 업체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던 인텔 등 미국 토종 반도체 업체들이 반사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인텔의 경우 관세 발언이 나오자 뉴욕증시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가 21.17 달러까지 오르는 등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반도체 품목별 관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르면 내주에 발표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CNBC 인터뷰를 통해 "다음주 정도에 품목별 관세를 더 발표할 예정“이라며 반도체와 의약품을 언급한 바 있다.

그렇다면 한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대로 반도체에 100% 관세를 내야만 할까.

최근 한국이 미국과 진행했던 관세 협상에 한국 정부는 "한국이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에 최혜국 대우를 받는 것으로 합의했다"고 밝힌바 있다.

유럽연합(EU)의 경우 자동차는 물론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해서도 15%의 품목관세에 합의했다고 밝힌 바 있어 과연 미국이 한국에게 제공할 '최혜국 대우'가 어느정도의 수준일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도 "(우리나라는) 최혜국에 대한 약속을 받았다"고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7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100%든 200%든 간에 어떤 나라가 최혜국 대우를 받는다면, 우리 반도체나 의약품 분야에 있어서 최혜국 대우 약속을 받았다는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여도 되지 않을까 싶다"며  이와 같이 말했다.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