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가(MASGA) 프로젝트 관세 협상...한화오션 기대감 급상승
시가 총액 43조서 120조 177.4% 증가...10대 기업 중 최대 상승률

한화그룹이 2025년 들어 국내 10대 그룹 중 기업가치가 가장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화그룹은 미국 트럼프 2기 정권이 전 세계를 상대로 펼치고 있는 일방적 관세 협상에 타 기업들이 고심하는 가운데, 관세 협상 카드 중 하나인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에 의해 기업 가치가 오히려 크게 상승하는 반사 이익을 얻었다.

5일 한화그룹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2024년 12월 30일 종가 기준) 43조5000억원이었던 한화그룹 13개 상장사의 시가총액은 8월 1일 종가 기준 120조7000억원으로 177.4%(77조2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코스피가 30.6%, 한화 제외한 10대 그룹 평균이 30.3% 늘어난 것이 비하면 5배 이상 높은 수치다.

한화그룹은 지난해 말 코스피 전체 시가총액(2662조7000억원)의 2.3%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코스피 상승분인 600조2000억원에서 77조2000억원을 차지하면서 12.9%를 견인하고 있다.

한화그룹의 이와 같은 약진은 방산과 조선 분야 계열사의 주가 상승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 한화시스템 등 방산·조선 3사의 시가총액은 지난 7월 31일 기준 97조원에 달한다.

지난 연말 32만6000원이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는 지난달 말 99만6000원으로 245.1% 폭등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 상반기 매출 11조8577억원, 영업이익 1조4251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고, 지난 7월 21일 4조2000억원의 자본을 조달하며 유상증자도 마무리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 발표 날(3월 20일) 72만2000원이던 주가는 지난달 말 장중 103만5000원을 찍으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한화오션은 조기 경영정상화 성공 및 한미 관세 협상 여파로 주가가 같은 기간 3만7350원에서 11만2300원으로 200.1% 급상승했다. 한화오션은 미국 현지 조선소를 보유한 유일한 국내 조산업체로, 지난해 말 필리조선소를 인수 한 바 있다.

한화오션이 인수한 필리조선소_사진 한화그룹 제공
한화오션이 인수한 필리조선소_사진 한화그룹 제공

한화오션의 미국 현지 사업이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 과정에 있어서 유의미한 역할을 하면서, 한화오션은 이번 관세 협상에 따른 수혜 기대로 1일 11만7400원에 거래를 마쳤고, 시가총액은 35조9729원으로 코스피 시총 13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업계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마스가 프로젝트가 진행됨에 따라 국내 기업들이 미국 조선 사업에 진출할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미국에 이미 진출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한화오션이 앞으로 선점효과를 더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다.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