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AI서밋 2025 기조연설..."가장 효율적 AI설루션 기업 도약할 것"
"AI인프라 수요폭발...추론 본격화·B2B AI도입·에이전트·소버린AI 영향"

최태원 SK회장이 3일 코엑스에서 열린 'SK AI서밋 2025'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최태원 SK회장이 3일 코엑스에서 열린 'SK AI서밋 2025'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메모리 공급부족이 AI인프라 투자와 AI컴퓨팅의 병목이 되고 있다"며 "증산을 위한 설비투자는 물론 최적의 AI 설루션을 제공하는 효율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최태원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국 코엑스서 열린 'SK AI서밋 2025' 기조연설을 통해 'AI수요와 성장 속도가 가히 폭발적'으로, SK는 가장 효율적인 AI설루션의 제공과 이를 활용하는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회장은 최근 AI업계의 화두는 '폭발적 수요에 대비한 AI인프라 투자 증가'라며, 세계 데이터센터 투자 금액이 6000억달러에 이를 정도로 빠르게 커지고 있고, 이 조차도 얼마나 더 큰 폭으로 성장할지 알 수 없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AI수요 증가가 △추론 본격화 △B2B(기업간 거래) AI도입 △에이전트의 등장 △국가간 소버린AI 경쟁 등의 영향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AI가 학습과 함께 본격적인 추론을 하게 되면서 자신의 답에 대한 검증을 반복해 더 나은 답변을 이끌어내는 과정에서 컴퓨팅 수요가 커질 수 밖에 없게 됐다는 것. 

AI에이전트의 확산 역시 기업들이 AI를 사업에 적용하지 않으면 도태될 것으로 보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이 과정에서 비용은 주요 고려사항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B2B AI 시장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최 회장은 예측했다.

미국과 중국을 시작으로 세계 각 국의 소버린 AI경쟁역시 AI 수요를 더 키울 동력이 될 것으로 봤다.

최태원 회장은 AI시대 메모리의 역할은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고 강조했다. AI 칩 성능이 급속히 향상되고 있지만, AI컴퓨팅을 뒷받침할 메모리 반도체 공급은 이에 미치지 못하면서 메모리 공급이 병목이 되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맞춰  SK는 내년 중 청주 M15X를 본격 가동하고, 2027년에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를 가동하며 폭발하는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용인팹은 총 4개 팹으로 구성되며, 한 곳당 청주 M15X의 6개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며 용인클러스터가 완공되면 M15X 팹 24개가 지어지는 공급능력을 갖게 된다.

또한 최 회장은 "SK 스스로가 데이터센터를 만들고, 반도체부터 전력과 에너지설루션까지 제공해 가장 효율적인 AI 인프라를 제공하고자 한다"면서 "가장 효율적이고 이상적인 AI인프라 구조를 찾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AI문제를 풀 수 있는 것 또한 AI로, 메모리 반도체 생산 속도를 높이고 데이터센터 운영 자동화와 가상화에 AI적용을 늘릴 것이라고 소개했다. 최근 방한한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만난 의견을 같이 한 'AI팩토리' 협력을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이날 기조연설 말미에 국내외 파트너사들을 화면에 소개하며 “AI는 혼자 할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니며, SK AI 전략의 핵심은 파트너와 공동으로 설루션을 설계하고 발전해가는 것”이라며 “SK는 파트너와 경쟁하지 않고, 빅테크와 정부, 스타트업 등 여러 파트너들과 AI 사업기회를 만들어 최고 효율의 AI 설루션을 찾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최 회장에 이어 정재헌 SK텔레콤 신임 CEO가 'SK의 AI인프라 역량'을, 곽노정 SK하이닉스 CEO가 'AI컴퓨팅 설루션 기업으로 거듭나는 SK하이닉스의 비전'을 소개했다.

선임기자 nyseo67@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