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U 26만개 우선 투입...정부 및 기업 적극 활용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차, LG, 네이버 등 주요 기업 AI팩토리 구축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현장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접견하고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협력을 논의했다.
엔비디아는 정부와 국내 4개 기업(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네이버클라우드)에 총 26만장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투입한다. 최대 14조원에 달하는 규모다.
전 세계적인 AI 열풍에 품귀현상을 일으키고 있는 GPU를 한국이 우선으로 받는 동시에, 엔비디아에 국내 메모리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조달 확대를 통해 'AI 인프라 생태계'에 참여함으로써 한국의 주권형(소버린) AI 구축을 앞당길 수 있다는 기대감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엔비디아는 국내 기업들과 6세대 이동통신(6G), 의료, 양자컴퓨팅 부문에서도 폭넓게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대통령실은 이 대통령이 이날 오후 황 CEO와 만나 대한민국 AI 인프라를 비롯한 AI 생태계 전반의 혁신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한-엔비디아 협력을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전날 치맥을 즐기며 친분을 과시했던 멤버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그리고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이해진 네이버 의장이 배석했다.
이날 접견에서는 피지컬 AI 등 핵심분야 AI 인프라 구축 및 기술협력과 AI 기술 공동연구, AI 인재 양성 및 스타트업 지원 방안 등이 논의됐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으로 "대한민국의 목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AI 수도로 거듭나는 것으로 최근 한국을 아태 지역 AI 허브로 발전시키는 프로젝트에 블랙록, 오픈AI와 같은 글로벌 AI 기업이 함께 하기로 했다"며 "엔비디아도 동참해 인프라·기술·투자가 선순환하는 AI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 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엔비디아가 AI 혁신 속도를 담당하고 있다면 한국은 이 속도를 잘 활용해 혁신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며 "논의된 협력 방안이 한국을 넘어 국제사회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한국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우리 정부는 엔비디아의 최신 GPU를 26만 장 이상 확보해 AI 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공공 및 민간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하고, 하드웨어 설치를 넘어 엔비디아와 구축·운용 기술 협업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26만개 GPU 중 최대 5만개를 배치해 기업과 산업의 AI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삼성과 SK그룹, 현대차그룹은 각각 최대 5만개의 GPU를, 네이버클라우드는 6만개의 GPU를 도입한다.
현대차와 네이버는 피지컬 AI 등 분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엔비디아와 협력한다. 현대차와 엔비디아는 AI 자율주행차, AI 자율제조 등 피지컬 AI 기술개발과 특화 인재 양성을 추진한다. 네이버는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클라우드 및 AI 기반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등 피지컬 AI 경쟁력 강화에 나설 예정이다.
국내 반도체 제조기업인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도 엔비디아 GPU를 활용한 디지털 트윈 구축을 통해 생산 공정을 개선한다. 또 엔비디아는 이들 기업을 통해 안정적인 HBM 공급 확대를 꾀한다.
아울러 엔비디아는 국내 통신사 및 산·학·연과 양자 하이브리드 컴퓨팅, 지능형 기지국(AI-RAN) 상용화 등 AI 기술 공동연구도 진행하며 AI 인재 양성 및 스타트업 지원에도 나설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