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회복과 수출호조로 1분기만에 역성장서 플러스로 전환
건설과 설비투자 각각 1.2%와 2.1% 감소 이어져

2분기 경제성장률(GDP)가 0.7% 증가하며 지난 1분기 마이너스 성장에서 벗어나 반등을 보였다. 민간 소비 회복과 수출이 호조를 보인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건설과 설비투자는 부진을 면치 못하며 1분기에 이어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했다.

대형 마트에서 장을 보는 모습.
대형 마트에서 장을 보는 모습.

3일 한국은행의 발표에 따르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이 직전분기 대비 0.7%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7월의 속보치인 0.6%보다 0.1%포인트 올라간 것이다.

분기별 성장률 흐름도 플러스로 전환했다. 지난해 1분기에 1.2%로 깜짝 성장을 보인 이후 경제성장률은 2분기 다시 -0.2%로 떨어졌고, 이후 3분기와 4분기 각 0.1%로 정체를 보이다 올해 1분기 -0.2%로 또 다시 역성장으로 돌아섰다.

부문별 2분기 성장률은 민간 소비가 0.5%, 정부 소비가 1.2%로 증가했다. 수출은 반도체 등의 호조로 4.5%를 보였고, 수입도 4.2%로 이전 대비 늘었다.

반면, 건설투자는 토목 등의 부진으로 -1.2%로 감소했고, 설비투자역시 선반과 반도체제조용기계 등을 중심으로 -2.1%로 뚝 떨어졌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전자와 컴퓨터, 광학기기, 운송장비 위주로 2.5% 늘었고, 서비스업도 도소매와 숙박음식업, 운수업 등이 호조를 보이며 0.8% 증가했다. 각각 1분기 -0.6%와 -0.2% 마이너스를 보인 이후 반등한 것이다. 

건설업은 건물과 토목건설이 줄며 -3.6%로 줄었고, 전기와 가스·수도업은 -5.4%로 더 큰 폭의 역성장을 보였다.

2분기 명목 국민총소득은 2% 늘었으며, 실질 국민총소득역시 1% 증가했다.

수출할 컨테이너를 선박에 선적하고 있는 모습.
수출할 컨테이너를 선박에 선적하고 있는 모습.

 

관련기사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