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매출 전년비 대비 56% 증가하며 일각 'AI거품 우려 불식'
3분기 전망도 높았으나 중국매출과 데이터센터 예상치 하회는 부담

최근 오픈AI의 샘 알트먼이 제기했던 AI거품 우려 등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은 엔비디아 2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하며 호조를 보였다.

하지만,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중국 제재에 따른 H20 칩 등 중국 매출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는 점과 데이터센터 매출이 예상치를 소폭 하회한 것은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젠슨 황이 GTC2025 기조연설에서 신형 칩을 들어보이며 설명하고 있다.
젠슨 황이 GTC2025 기조연설에서 신형 칩을 들어보이며 설명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27일(현지시간) 5~7월의 2분기 매출과 주당순이익이 각각 467.4억달러와 1.05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인 매출 460억달러와 주당순이익 1.01달러를 웃도는 것이다. 2분기 매출의 성장률도 전년 동기대비로 56% 증가한 것이다. 일단 AI 실적 감소 등의 AI거품 우려는 현실화하지 않은 셈이다. 

엔비디아는 3분기 실적 가이던스도 전년 동기대비 50% 이상 높인 540억달러로 제시했다. 여기에는 H20 칩 등 중국 매출은 포함되지 않아, 향후 매출 변동의 가능성은 남아 있다.

또한 이번 실적에서 데이터센터 매출이 411억달러로 전년대비 56% 증가했으나, 시장의 평균 예상치인 413억달러에는 미치지 못했다. 2분기 H20 칩 판매가 없어 중국 매출이 없었던 점도 우려로 작용했다.

이같은 실적 발표로 엔비디아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28일 오전 현재 3% 안팎의 하락을 보이고 있다.

이날 엔비디아 젠슨 황 CEO는 컨퍼런스 콜에서 "AI 경쟁은 시작됐으며, 블랙웰은 그 중심에 있다"면서 "블랙웰에 대한 수요는 엄처나며, 블랙웰 울트라의 생산이 최고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엔비디아의 AI 부문 매출외에 차세대 주력으로 삼고 있는 로보틱스의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69% 증가한 5억8600만달러를 기록했다.

젠슨 황 CEO는 "AI 다음으로 로보틱스가 가장 큰 성장 시장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차세대 AI가속기 칩인 루빈과 관련해서는 오는 10월에 있을 GTC에서 루빈이 가져올 혁신에 대해 공개하겠다고 덧붙였다.

젠슨 황 CEO는 이어 오는 2030년까지 AI 인프라 투자 규모는 3조~4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꽤 합리적인 수치라고 설명했다.

엔비디아 콜렛 크레스 CFO도 내년 데이터센터의 설비투자 규모가 6000억달러로 예상된다며 데이터센터의 매출이 지속적으로 우상향 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세계 각국의 AI프로젝트에서도 올해만 200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제시하며 긍정적 전망을 내놨다.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