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청약 요건, 개인 상황과 질문에 맞춰 원스톱 답변 제공
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이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청약 상담에 적용한 ‘AI청약상담원’ 서비스를 24일 출시했다. 우리은행은 해당 서비스가 올해 1월 금융위원회로부터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받아 금융권 최초로 생성형 AI를 활용한 청약 상담 서비스로, 자사가 ‘AI예적금상담원’, ‘AI대출상담원’에 이어 이번 ‘AI청약상담원’을 출시하는 등 AI뱅커 서비스 영역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우리은행 ‘AI청약상담원’ 서비스는 이용자가 복잡한 주택청약에 대해 궁금한 점을 질문하면 관련 문서 검색과 청약 계좌정보를 바탕으로 맞춤형 답변을 제공한다. 주요 기능은 △AI 기반 청약상담 △예상 청약가점·순위 계산 △맞춤형 청약 공고 추천 등이다.
우리은행에 따르면 “내 청약통장으로 지금 청약 순위가 어떻게 되는지 알려줘”, “4인 가구 소득 기준으로 생애최초 특별공급이 가능한지, 해당 지역 우선공급 자격이 있는지 궁금해”와 같은 질문을 하면, 보유 청약 계좌의 납입액·납입회차와 가구 소득, 거주지 정보 등을 자동 분석해 예상 청약 가점과 순위, 공급 유형 및 우선 공급 가능 여부까지 한 번에 안내한다. 복잡한 제도와 긴 공고문을 사용자 대신 읽고 해석해주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은행은 “급변하는 부동산 정책과 소득·자산·특별공급 등 세분화된 요건으로 인해 청약 제도는 일반 이용자가 스스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입주자 모집공고문은 수십 페이지에 달하는 분량과 어려운 표현, 복잡한 구조로 인해 궁금한 정보를 찾기 어렵다”며 ‘AI청약상담원’이 사용자의 질문 의도를 이해해 관련 규정과 공고문을 종합한 핵심 정보를 쉽게 풀어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불편을 해소한다고 강조했다.
또 해당 서비스는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검색증강생성) 기술을 적용해, 청약 전문 지식을 반영한 정확한 답변을 생성하도록 설계했다고 강조했다. 우리은행은 “개인정보 필터링과 외부 공격에 대한 방어 체계를 마련, 외부로 금융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보안 수준도 강화했으며, 지난 10월 금융보안원 보안대책 평가를 최종 통과했다”고 덧붙였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우리은행이 청약의 모든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대표 채널로 인식될 수 있도록 정확하고 체계적인 청약 상담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며 “AI 기술을 통해 업계를 선도하는 상담 경험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우리은행 ‘AI청약상담원’ 서비스는 우리WON뱅킹 앱 우측 상단에 위치한 ‘AI챗봇’으로 들어가 ‘AI청약상담원과 상담하기’를 선택하면 이용 가능하다. 사용을 위해서는 우리WON뱅킹 로그인 및 서비스 이용 동의가 필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