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앞두고 대량 출혈, 응급 제왕절개 수술 후 간부전 발생으로 위독해져
이대목동·서울병원 신속한 연계 통해 간이식, 3주 만에 모자 첫 상봉
이화여대의료원은 이대목동병원과 이대서울병원의 신속하고 유연한 협진으로 위급 상황에 연거푸 빠진 산모와 아기가 무사히 일상으로 돌아갔다고 18일 소개했다.
이화여대의료원에 따르면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거주 중인 35세 산모 신 씨는 평소 내원하던 산부인과에서 유도 분만을 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임신 39주차였던 지난 7월 중순 집에서 갑작스러운 출혈이 있어 산부인과를 찾았고, 평소 임신성 고혈압이 있었던 신 씨의 상황이 심각하다고 판단한 지역 병원 의료진은 전종관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 교수에게 전원을 의뢰했다.
신 씨는 태아가 분만되지 않은 상태에서 태반이 먼저 분리되는 태반조기박리 증상 때문에 대량 출혈이 발생했고 이대목동병원으로 이송돼 즉시 응급 제왕절개 수술에 들어갔다. 무사히 남자아이를 출산했지만 신 씨는 수술 후 일반 병실에서 재출혈로 심정지를 겪었다.
의료진들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해 간신히 소생한 신 씨는 이후 중환자실에서 치료 이어갔으나 간부전으로 인한 간성혼수, 간신부전 증상이 동반돼 생명이 위태로운 상황이 이어졌다.
이에 심홍진 이대목동병원 중환자의학과 교수는 이대서울병원 장기이식센터에 신 씨의 간이식을 의뢰했고, 신 씨는 이대서울병원으로 이송돼 전호수 이대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에게 입원 치료를 받다가 5일 후 타 병원의 기증자를 통해 간 이식 수술이 가능하게 됐다. 이날 오전 이대서울병원 외과 홍근, 이정무 교수 등 의료진이 타병원에서 간을 구득해왔고, 다음날 새벽까지 수술이 집도됐다.
홍근 이대서울병원 장기이식센터장(외과)은 “신 씨는 급성간부전 환자로 7일 이내에 간이식을 받지 않으면 위험하기 때문에 ‘응급도 1’ 환자로 등록했고 마침 간이식 공여자가 나와 수술을 진행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병원 측에 따르면 당시 신 씨는 출혈이 멎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고 수술 후에도 출혈이 지속돼 재수술을 시행했다. 이후 지혈에 성공하고 중환자의학과의 집중 치료 끝에 상태가 호전돼 이식 수술 2주 후 일반 병실로 이동, 수술 후 24일 만에 아기와 첫 만남을 갖게 됐다.
이화여대의료원은 산모 신 씨가 태반조기박리의 초응급 상황에 급성간부전까지 겪었지만 고위험산모에 능숙한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 장기이식센터가 있는 이대서울병원과 같은 의료재단이라는 점, 시의적절하게 나타난 간이식 공여자 등 세 번의 기적을 통해 아기와 일상으로 돌아갔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