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디, 소프트웨어 전문성 강화 ‘e-모빌리티’ 미래 연다

2025년까지 IT전문인력 최대 2000명 충원... 자동차용 특화기술 개발 박차

2023-02-03     박상대 기자

아우디AG는 미래의 모빌리티 경험 개발과 폭스바겐 그룹애서 창출하는 시너지를 활용하갰다고 밝혔다.

폭스바겐그룹 소프트웨어회사인 카리아드는 통합 기술 플랫폼울 개발 중이며, 아우디는 카리아드 소프트웨어를 자사 모델에 적용하는 동시에 자체적으로 브랜드별 특징적인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인력구성 전환의 차기단계 진행에 맞춰 소프트웨어 전문인력을 추가로 영입할 계획이다. 

인력구성 전환은 아우디가 미래 관련 분야에서 추진 중인 작업으로, 400명가량의 IT 전문 인력을 추가로 선발해 현재의 전환 작업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며, 2025년까지 최대 2000명을 고용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마커스 듀스만 아우디 CEO는 “우리는 e-모빌리티와 디지털화에 대한 명확한 전략을 수립했다. 미래 핵심분야 주요 인재들을 영입하면서 폭스바겐그룹의 강점을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영입을 추진하는 분야는 소프트웨어와 자동차를 하나로 합치는 다면적인 작업으로 IT전문가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면서 "아우디는 자율주행부터 디지털 생태계까지 확장된 소프트웨어 역량을 바탕으로 도로 위에서 기술적인 혁신을 구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헤드업 디스플레이부터 전자사운드까지

운전석 앞 유리창에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방향 전환 표시 화살표와 같은 가상의 다이내믹 콘텐츠를 표시해준다.

특히 시야 확보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주행 중 편안함과 안전성을 보장한다. 

헤드업디스플레이가 가능해진 것은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이일조한 덕분으로, 아우디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 또한 마찬가지이다.

e-모빌리티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 새로운 활동 무대를 열어주고 있다. 

전기차의 사운드를 디자인하고 전기구동 시스템의 전력 전자장치 제어를 프로그램하는 것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로, 전기구동시스템 부품들은 차량의 안전성, 효율성, 주행성능과 생태균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 미래 비전 실현을 위해

아우디는 이미 소프트웨어 중심의 미래형 콘셉트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사례가 바로 아우디 액티브스피어콘셉트다.

탑승자는 혼합현실 헤드셋을 통해 실제 주변 환경과 도로를 보면서 눈 앞에 나타나는 3D콘텐츠와 인터랙티브 요소를 개인별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우디 디멘션(dimensions)이라는 명칭의 혁신적인 작동 콘셉트는 미래 적용 분야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다.

# 개척정신을 가진 인재에게 자유-유연성 제공

자비에르 로스 아우디 경영위원회 인재-조직 담당 위원은 “우리는 지속가능한 프리미엄 모빌리티 분야에서 선구자가 되고자 한다. 새로운 분야에 뛰어들 개척정신과 용기를 지닌 인재들을 찾고 있으며, 이들이 아우디의 지속적인 성공을 이끌어줄 것이다. 아우디라는 일터에서 독립적으로 다양한 하이브리드 작업을 자유롭게 누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우수고용협회는 3년 연속 아우디를 '독일 최우수 고용기업'으로 선정했다. 특히 기업의 사회적책임, 다양성, 포용정책, 웰빙 분야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더 나은 일상'과 같은프로젝트와 아우디의 '하이브리드 워킹' 협약은 유연한 근무 방식을 장려하고 있다. 

동시에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과 직원 네트워크를 통해 독일 사업장에만 100개국 이상의 국적을 지닌 다양한 인력이 근무하면서 사내 다양성 문화를 더욱 발전시키고있다. 

2029년까지 일자리 보장을 단행해 모든 임직원이 미래 분야의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는데 필요한 안정성을 제공할 계획이다.

# 통합 커리어 사이트 통해 팀워크 강조

모든 IT직무 모집 정보는 아우디 직무 포털과 새롭게 문을 연 폭스바겐-카리아드 통합 커리어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폭스바겐그룹 산하 브랜드처럼 폭스바겐 승용차는 카리아드의 자동차용 전자 아키텍처를 모든 모델에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상당한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프리미엄 브랜드로써 아우디는 다양한 기술혁신 중에서도 액티브스피어 콘셉트에서 새로운 작동 콘셉트를 통해 선보인 바와 같이 개인용 프리미엄 모빌리티에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개발 우선순위 차이를 통해 폭스바겐그룹은 개인용 기능과 서비스를 보다 빠르게 시장에 선보인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박상대기자 kevin@next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