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버즈-황민교 기자] 정부가 업계 안팎으로 논란 가득했던 공영 TV홈쇼핑 출범을 공식화했다. 기존 6개의 홈쇼핑에 이어 7번째로 등장해 ‘제7 홈쇼핑’으로 명명되고 있다. 제7 홈쇼핑은 중소 및 벤처기업 판로 확대를 위해 등장했다는 착한 명문을 앞세웠지만 어쩐지 게름 직한 기분을 지우기 어렵다. 지루할 만큼 동일한 말들의 반복인 탓이다.

2001년 설립한 롯데홈쇼핑(당시 우리홈쇼핑)과 NS홈쇼핑, 2011년 신설된 홈앤쇼핑이 그러하다. 이들 홈쇼핑은 모두 중소기업의 저변확대 명분을 내세우며 등장했다. 전체 6개의 홈쇼핑 중 정확히 반절을 차지하는 3개 업체가 중소기업을 살리기 위해 태어난 것. 제7 홈쇼핑까지 합치면 4개가 된다.

제7 홈쇼핑의 출범은 사실상 이들 홈쇼핑이 제 역할을 하지 못했음을 인정하는 셈이다. 특히 가장 최근 등장한 중기전용 홈쇼핑 홈앤쇼핑은 존재 이유를 부정당한 것 아니냐는 우려어린 시선을 받기도 했다.

그렇다면 중소기업을 위한다던 기존 홈쇼핑은 유명무실한 존재일까? 한 예로 모 홈쇼핑은 택배비 추가 비용을 포함해 실질적으로 업체가 부담해야 할 수수료를 더 높였다. 또 중소기업의 신상품 발굴보다는 검증된 상품 위주로 방송편성을 해 업체의 따가운 눈총을 받은 바 있다.

약 10년째 홈쇼핑 밴더로 일해 온 A씨는 "업체로서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많지만, 혹시나 불이익을 받지 않을까 하는 걱정에 전전긍긍하는 부분이 많다"며 "협력사들은 부당함에도 호소할 곳이 없다"는 호소의 메일을 보내오기도 했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정부의 ‘제7 홈쇼핑’ 개설은 납득가지 않는 부분이 많다. 기존 업체 편을 들기 위해서가 아니다. 만일 정부가 진심으로 중소기업 판로 확대를 위한 목적을 위해 홈쇼핑을 개설했다면 기존 채널의 구조적 문제점을 좀 더 면밀히 살펴 대책 마련을 하는 게 옳다. 한데 너무 빨리 손을 놓고 다시 처음부터 시작하겠다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경험을 통해 배우지 못한다면 같은 실수를 반복할 수밖에 없을텐데 말이다.

신규 채널이 생길 경우 SO(플랫폼 사업자)에게 지급할 송출수수료 인상이 예상된다는 점도 문제다. 이는 경험을 통해 이미 겪은 바다. 2009년 4,100억 원 이었던 송출 수수료는 4년여 만에 9,800억 원으로 훌쩍 뛰어올랐다. 신규 채널이 뛰어들 때마다 평균 20% 이상 증가하는 식이다. 이렇게 오른 송출수수료에 대한 부담은 중기 방송수수료로 채울 수밖에 없어 업계 부담이 갈수록 가중되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

결국 정부의 계획은 뜻대로 되지 않을 확률이 높을 뿐더러 가뜩이나 포화 상태인 홈쇼핑 채널이 하나 더 늘어 소비자와 중기 모두를 피곤하게 만들 공산이 커 보인다. `제7 홈쇼핑`의 존재 자체는 기존 정책 실패를 내포하고 있다. 단순히 없앤다고, 혹은 새로 만든다고 본질적인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제대로 된 오답풀이 없이 어떻게 금빛 청사진을 그릴 수 있을까? 사회 전체에 만연한 앞뒤 잘라먹는 대책방안이 홈쇼핑 업계에까지 이어지고 있는 듯 해 씁쓸한 마음을 감추기 어렵다.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