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코로니스, 사이버 보호 운영 센터 사이버 공격트렌드와 기업 대응 사례 발표

사이버 보안 글로벌 기업 아크로니스(지사장 서호익)는 8일 사이버 공격 트렌드와 기업 대응 사례 실태 조사 결과, 패스워드 정책 부재 및 단순한 패스워드 사용으로 개인정보 보안이 심각한 상태이며, 이는 막대한 비용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아크로니스 사이버 보호 운영 센터(Acronis Cyber Protection Operations Centers)가 발표한 최신 조사에 따르면, 기업의 80%가 패스워드 정책을 운영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업무 환경에서 사용되는 패스워드의 15~20%는 회사 이름을 포함하고 있어 취약한 상태이다.

최근 발생한 오리온(Orion) 해킹 사건에서 솔라윈즈(SolarWinds)의 서버 업데이트 패스워드가 “solarwinds123”이었던 점, 도날드 트럼프 미 전 대통령의 트위터 계정의 패스워드가 “maga2020!”로 알려진 것 등의 일련의 사례에서 이러한 패스워드 관리의 위험성이 잘 나타났다.

패스워드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조직의 대부분은 기본 패스워드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중 50%가량은 취약한 암호로 분류된다.

공격자들은 이러한 취약한 암호 관행이 널리 퍼져 있다는 점을 악용하는 한편 코로나 대유형으로 인해 재택 근무 중인 임직원들을 노려, 보안 취약한 원격 근무자의 시스템을 타깃으로 삼고 있다. 아크로니스는 이번 조사를 통해 2020년 한 해 동안 무차별적인 공격 횟수가 급증했으며, 피싱에 이어 패스워드를 탈취하는 ‘스터핑(stuffing)’ 공격이 2번째로 많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했다.

대다수의 기업들이 데이터와 고객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해 더 강력한 사이버 보호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지만 디지털 사용자들의 인식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보안기업 테시안(Tessian) 보고서에 따르면 직원의 48%가 가정에서 작업할 때 데이터 안전 규정을 따르지 않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크로니스 CPOC 애널리스트들은 원격 근무자들의 패스워드 관리 의식 부재 및 사이버 보안 불감증으로 인해 2021년 데이터 유출에 따른 재정적 영향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업 데이터 탈취를 노리는 공격자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이는 랜섬웨어 공격 양상과도 유사한데, 독점적인 정보 자산 및 사적인 데이터를 탈취하여 공개하겠다고 몸값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아크로니스 조사에 따르면, 이러한 랜섬웨어 공격으로 지난해 1천여곳 이상의 기업들이 데이터 유출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막대한 비용 손실의 다운타임, 기업 이미지 훼손, 데이터 침해 사고에 대한 과태료를 피하기 위해서는 기업 데이터 접근에 대한 인증 요건을 강화해야 한다.

아크로니스는 다중인증, 제로트러스트모델, AI 기반 통계 분석 보안체계 구축을 권고했다.

다중인증(MFA)은 사용자가 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VPN에 액세스하기 위해 둘 이상의 인증 절차를 완료해는 것이다. 모바일 앱의 지문 스캔이나 랜덤 PIN 등 추가적인 인증 방법과 비밀번호를 결합해 공격자가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추측하거나 변경해도 기업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로 트러스트 모델은 원격으로 접속하거나 내부망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들이 인증 과정을 거치고, 권한을 증명해야 하는 것이다. 기업 데이터 및 시스템에 접근하고 사용하는데 대한 보안 검증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사용자 및 개체 행동 분석(UEBA)을 통해 보안 체계를 자동화할 수 있다. AI와 통계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정상적인 활동 모니터링도 중요하다. 시스템에서 정상적인 패턴을 벗어난 동작, 특히 침해 사고나 데이터 도용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아크로니스 코리아 서호익 지사장은 “팬데믹 이후 원격 근무가 급격히 늘어나며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도입이 가속화됐고 있으나 많은 기업들이 사이버 보안과 데이터 보호 요구 사항들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라면서 “이제 개인정보 보안이 사이버 보호 전략의 핵심 영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만큼 원격 근무자들을 위한 강력한 보호책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이향선기자 hslee@nextdaily.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