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희 지음 / 율곡출판사 펴냄

모든 사안을 결과가 아닌 과정으로 보는 세계관, 내 생각과 행위를 다름 사람에게 표현하는 자기 조직화, 스스로의 노력으록 ㅗㅇ을 세워 삶을 영위하는 주체성. 이 3가지 조건이 갖춰질 때 비로서 '내생성'이 생겨난다.

KAIST 이덕희 기술경영학부 교수가 동양의 중용과 서양의 근대철학을 융합해 선진 문명사회의 길을 제시하는 '내생사회; 머리와 손발의 소통 이야기'를 최근 출간했다.

이 교수는 책을 통해 내생성이 우리 사회의 사(士)와 농공상(農工商), 자본의 윤리와 논리가 화해하는 길을 열어줄 것이라고 열설하고 있다.

책은 `정녕 우리에게 도덕적 자본주의는 불가능한 것인가?', `재난은 왜 계속 되풀이되는가?', `혁신은 우리 곁에 있는가?' 등 현실적인 문제의 근원이 우리 사회의 `외생성'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쓰고 있다. 통찰과 함께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내생사회'로의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외생성'이란 삶의 중요한 의미를 외부적인 요소를 통해 추구하는 방식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우리 사회를 타인 혹은 외부에 의해 발전의 동인이 촉발되어 유지되고 있는 `외생 사회'로 규정했다. 이 교수는 오랫동안 정치, 경제, 문화, 종교, 사상 등 여러 방면에서 우리 고유의 것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정립해놓은 것을 활용해 온 것이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이 교수는 조선 양반 문치(文治) 카르텔은 사(士)에 과도한 특권을 부여해 농공상(農工商)과의 단절을 야기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사회의 역동성을 약화시킨 조선의 유교 사회, 개화기 서양 문물의 수용, 일제강점기 등의 역사적 과정을 거치면서 `내생성'을 키우는 동력을 상실한 결과가 부동산 불패 신화, 학벌 제일주의, 반복되는 재난과 같은 현시대의 고질적인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이 교수의 분석이다.

저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이 `내생사회'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내생사회'란 흩어지지 않고 무언가 차곡차곡 쌓이는 사회라 비유할 수 있으며, 중용(中庸)에서 말하는 `지극한 정성의 총합'으로 표현하고 있다.

저자인 이덕희 교수는 고려대에서 경제학 학사, 석사를 뉴욕주립대(버팔로)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공자가 다시 쓴 자본주의 강의』(2015), 『정보통신경제학』(2010), 『부뚜막이 닳도록 : 어느 경제학자의 문화적 자존 이야기』(2010), 『네트워크 이코노미 : 부분과 전체의 복잡성에 대하여』(2008) 등 통섭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 다수의 서적을 집필했다.

온라인뉴스팀 onnews2@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