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6월 29일, 전 세계는 새로운 ‘바(bar)’형의 휴대전화기를 만나게 되면서 진정한 유비쿼터스 세상과 만나게 된다. 바로 애플의 ‘아이폰’이다.

아이폰은 10년이 넘게 스마트폰 폼팩터의 기준이 되고 있다.
아이폰은 10년이 넘게 스마트폰 폼팩터의 기준이 되고 있다.

이 혁신적인 기기는 손가락만으로 웹서핑, 사진 촬영, 채팅 등 원하는 모든 것을 할 수 있었고 사람들은 이에 열광했다. 그리고 곧 애플이 아이폰을 통해 제시한 사각형의 전면 ‘바(bar)’형 터치스크린은 모든 스마트폰의 기준이 되었다.

이후 10년이 넘는 시간이 지났다. 그동안 스마트폰의 성능은 정보통신과 과학기술의 개발, 그리고 앱 마켓의 활성화로 엄청난 발전을 이룩했다. 그러나 외관은 처음 아이폰이 나왔을 때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오랜 시간 스마트폰은 바형 전면 터치스크린을 바탕으로 색상, 카메라 형태와 성능, 뒷면의 디자인 등 제한적인 부분에서만 변형을 줄 수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스마트폰의 기본 성능마저 상향 평준화되자 이제는 더욱 제품 간 차이점을 구분하기 힘들어졌다.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끌어내기 위해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제품과 구분되는 특별한 부분이 있거나 확연한 성능의 격차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최근 1~2년 사이에 스마트폰을 구매한 소비자는 신제품을 봐도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제품의 성능과 디자인이 크게 다르다는 느낌을 받기 어렵다.

한정된 디자인에서 차별을 주기 어려워지자 최근 몇 년 동안 스마트폰의 최대 홍보 포인트는 카메라였다. 카메라는 화소 및 줌 등 그나마 개선의 여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성능이 높아졌다는 것은 곧 이미지 프로세싱 능력도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굳이 좋은 카메라가 들어간 비싼 폰을 사지 않아도 충분히 괜찮은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가 사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몸소 실천한 구글의 픽셀4xl
이미지 프로세서가 사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몸소 실천한 구글의 픽셀4xl

게다가 카메라의 성능을 높이다 보니 물리적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었고 결국 카메라가 튀어나오는 ‘카툭튀’ 등 디자인적으로 핀잔을 받기도 했으며 그마저도 완벽한 성능을 보여주지 못해 외면당했다.

이렇듯 스마트폰 신제품에서 구매 매력을 느끼는 요소들이 줄어들면서 소비자들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더 사용하자며 교체 보류를 하는 현상이 높아졌다.

이로 인해 전체 스마트폰 시장은 2016년 세계 출하량 14억7000만대를 기록해 정점을 찍다가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하더니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한 타격으로 12억대 미만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반면 지난해 새로운 폼팩터로 큰 관심을 받았던 ‘접는폰’, 즉 폴더블폰 시장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SA(Strategy Analytics)는 지난해 폴더블폰의 판매량이 70만대에 불과했지만, 오는 2022년에 이르면 5010만대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새로운 폼팩터가 스마트폰 시장에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지표다.

이에 삼성전자와 LG를 위시한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미래의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새로운 폼팩터 전쟁을 벌이고 있다.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이 2019년 2월에 갤럭시폴드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 = 삼성전자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이 2019년 2월에 갤럭시폴드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 = 삼성전자

새로운 폼팩터 개발의 선두주자는 역시 삼성전자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세계 최초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폴드를 출시한 바 있다. 접으면 일반 스마트폰처럼 사용하고 펼치면 태블릿처럼 넓은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 기믹은 상상만 했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양산되면서 가능해졌다.

삼성전자는 실험적이었으나 높은 완성도를 가진 갤럭시폴드를 내놓아 시장의 좋은 평가를 얻었고 단점이었던 무게와 투박한 디자인을 보완한 갤럭시Z 플립을 출시해 선택을 늘렸다.

화웨이 등 중국의 스마트폰 제조사들도 폴더블폰을 발표했지만 삼성전자만큼의 완성도를 이루지 못해 시장에서 사라져 버렸다.

지난 9월 1일 '삼성 갤럭시Z폴드2 언팩 파트 2'에서 '갤럭시Z폴드2'가 발표됐다. 사진 = 삼성전자
지난 9월 1일 '삼성 갤럭시Z폴드2 언팩 파트 2'에서 '갤럭시Z폴드2'가 발표됐다. 사진 =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새로운 폼팩터를 연 선두자로서 기세를 이어가기 위해 최근 전작인 갤럭시폴드의 단점을 보완한 ‘갤럭시Z폴드2’를 출시했다. 앞으로의 먹거리 파이를 최대한 확보한다는 의지가 보인다.

엘지의 새로운 시도였던 터닝디카폰 사진 = 엘지전자
엘지의 새로운 시도였던 터닝디카폰 사진 = 엘지전자

LG전자는 과거 피처폰 시절부터 실험적인 폼팩터를 자주 시도했던 도전정신이 강한 제조사였다. 대세였던 플립, 슬라이드, 폴더폰은 물론 몸체가 돌아가는 터닝디카폰이나 가로본능폰 등 제조사의 개성이 넘치는 제품들을 많이 만들며 세계 피처폰 1~2위를 다퉜다.

스마트폰으로 넘어와서도 이런 실험 정신들은 계속돼왔다. 액정과 배터리가 휘어지는 G플랙스 시리즈나 A4 용지 비율의 뷰 시리즈, 다양한 모듈을 교체할 수 있는 G5 등 항상 새로운 폼팩터를 선보이려 노력했다.

모듈 교체라는 당시 획기적인 컨셉을 들고 나왔던 엘지 G5
모듈 교체라는 당시 획기적인 컨셉을 들고 나왔던 엘지 G5

그러나 당시에는 상향평준화가 덜 되어 있던 시기라 소비자는 새로운 폼팩터 보다는 좀 더 좋은 성능과 카메라, 안정적인 OS에 더 매력을 느꼈다. 따라서 LG전자의 이런 시도들은 그리 큰 반응을 얻지는 못했다. 그러나 천편일률적인 스마트폰에 질려 있던 일부 팬들에게는 큰 호응을 얻어 작은 위로(?)는 됐다.

LG전자는 지난해 삼성전자가 갤럭시폴드로 큰 관심을 받고 있을 때 듀얼스크린폰을 내놓았다. 폴더블폰에 대한 기술적인 준비가 덜 되어 있었다는 판단도 있었겠지만, 굳이 남들이 가는 길을 따르지 않겠다는 의지도 있었다는 평가다.

엘지의 또다른 폼팩터 도전 LGwing 사진 = 엘지전자
엘지의 또다른 폼팩터 도전 LGwing 사진 = 엘지전자

그리고 LG전자는 스마트폰으로는 생소한 개념인 스위블 폰인 ‘LG윙(LGwing)’을 발표했다. 과거의 가로본능폰을 오마주한 이 폼팩터를 스마트폰 환경에 어떻게 녹일 수 있을 것인지 대중의 관심이 쏠려 있다.

과거에는 영상 콘텐츠만 가로로 돌려주면 그만이었지만 현재는 수많은 앱과 콘텐츠들을 이 폼팩터를 통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시장에 먹힐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LG전자는 롤러블 TV의 기술을 활용한 롤러블 스마트폰도 티저 형식으로 공개해 큰 관심을 끄는데 성공했다.

LG전자에게 있어 지금의 폼팩터 경쟁은 절호의 기회다. 그동안 새로운 도전을 해왔던 깜냥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동안 소비자들이 지적해 왔던 사후지원이나 부족한 스펙, 적절한 가격 정책 등의 기본기를 소홀히 한다면 이 절호의 기회를 잠깐 반짝이는 관심만 받고 날려버릴 수 있다.

보급 및 중급기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국이 낮은 가격을 무기삼아 무섭게 치고 올라오고 있다. 가격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는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새로운 폼팩터와 높은 품질이 무기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호 기자 dlghcap@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