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시대는 양자암호통신 기술이 본격 상용화되며, 지금보다 안전한 인터넷 환경이 조성될 전망이다.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은 18일 오전 10시 삼화타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자사 양자암호통신 상용화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에 관해 설명했다. 이날 SK텔레콤은 내달부터 서울-대전 구간(221km)에 IDQ사의 양자키분배(QKD) 기술을 연동한다고 밝혔다.

양자암호통신 기술이 SK 텔레콤 통신망에 본격 적용됨에 따라, 가입자들은 인증 과정부터 음성∙영상 데이터, SMS 등에 이르기까지 전 통신 영역에 걸쳐 고객 정보 유출 가능성을 봉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자난수생성 칩 [사진=SK텔레콤]
양자난수생성 칩 [사진=SK텔레콤]

이날 발표에는 SK텔레콤 코어 Eng팀 복재원 리더와 글로벌테크얼라이언스팀 심동희 리더가 "양자암호통신이 만드는 더 안전한 5G"를 주제로 진행했다.

첫 발표에 나선 복재원 리더는 양자암호통신에 대해 “현존하는 최고 기술로 해킹 가능성을 원천 봉쇄했다”고 말했다. 양자암호통신은 빛 알갱이 입자(광자)의 일종인 양자(Quantum)를 암호키 생성에 활용하는 보안 기술이다. 이를 활용하면 도청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암호키를 생성해 송·수신자 양쪽에 부여할 수 있다.

금융 거래에서 OTP, 공인인증서, 블록체인 등에 사용되고 있는 기존 보안 통신에는 전송하는 데이터에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있는 숫자(유사 난수) 암호키를 설정(암호화)하고 수신자가 이를 해제하는(복호화) 기술을 써왔다. 암호가 걸려 있어도 데이터 자체는 복제가 가능하고, 복제된 사실조차 알 수 없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돼왔다. 도청자는 복제한 데이터를 복호화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SK텔레콤
사진=SK텔레콤

반면에, 양자암호통신은 ‘양자 얽힘’ 현상이 작용해 애초부터 복제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양자 얽힘은 두 개 입자가 강한 상관성을 가지면 아무리 멀리 떨어뜨려 놔도 한쪽이 반응하면 다른 한쪽도 즉각 반응하는 현상이다. 만약 도청자가 양자암호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알아내려 시도하게 되면, 이 현상으로 인해 양자 데이터가 소실 된다. 이후 수신자는 정확도가 떨어진 데이터를 확인하게 되므로, 중간에서 도청 시도가 있었다는 사실까지 감지할 수 있다.

양자암호는 양자암호키분배기(QKD)를 통해 무작위로 생성되고, 오직 키를 알고 있는 송·수신자만이 한 번만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생성된 암호키도 고정돼 있지 않고 수시로 바뀌므로 도청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SK텔레콤의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자체 연구팀을 운영해오다, 지난해 3월 세계 1위 양자암호통신 기업인 스위스 IDQ를 인수하며 고도화됐다. 당시 IDQ는 양자암호기술의 핵심 부품인 양자난수생성기(QRNG) 제조 기술과 양자키분배(QKD) 서비스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었다.

SK텔레콤 Core Eng팀 복재원 리더가 양자암호통신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 Core Eng팀 복재원 리더가 양자암호통신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은 IDQ와 함께 양자암호통신과 양자센서 분야를 연구해왔고, 이달부터 5G 가입자 인증 서버에 IDQ의 양자난수생성기(QRNG)를 적용했다. 내달부터는 서울-대전 구간에 IDQ사의 양자키분배(QKD) 기술을 연동하고, 향후 양자암호기술을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해 양자 네트워크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양자암호통신 기술이 SK텔레콤 통신망에 본격 적용됨에 따라, 가입자들은 인증 과정부터 음성∙영상 데이터, SMS 등에 이르기까지 전 통신 영역에 걸쳐 고객 정보의 도청·해킹 가능성을 원천 봉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은 오는 4월 중 LTE망에도 양자암호통신 기술 적용을 확대할 예정이다.

강종렬 SK텔레콤 ICT 인프라센터장은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5G에 선제 도입해 SK텔레콤 고객들은 차별화된 통신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게 됐다”며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5G 통신망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광회 기자 (elian118@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