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개인 정보 침해 관련 문제로 곤혹을 치른 페이스북이 이번엔 ‘위치 추적’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출처:FOSSBYTES)
(출처:FOSSBYTES)

최근 CNBC는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위치정보를 추적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페이스북의 전 보안직원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블랙리스트와 비슷한 ‘BOLO(be on lookout)’를 만들어 관리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자사 플랫폼과 관련해 위협적인 글, 댓글을 기재하는 사람을 명단에 추가해왔죠.

블랙리스트엔 이용자의 이름, 사진, 평상시 위치정보, 리스트 추가 사유 등을 작성해 자사 보안팀에 넘기고 있었습니다. 2008년 이후 만들어진 이 블랙리스트에는 이용자 수백 명이 포함돼 있으며, 지금도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업데이트되고 있다고 합니다.

(출처:REUTERS)
(출처:REUTERS)

여기에 추가된 이용자 중 한 명은 페이스북의 유럽 지사를 위협했던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그는 지난해 초 유럽 지사 한곳을 지목하며 “내일 모두 대가를 치를 것이다”라고 협박했습니다. 이에 페이스북은 협박범의 IP 주소를 사용해 위치를 수집, 수사당국에 위협을 받고 있음을 알렸죠.

또한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이용자가 페이스북 본사 근처에 있을 때는 보안팀이 주기적으로 위치를 공유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출처:Freepik)
(출처:Freepik)

CNBC는 해당 사례가 페이스북의 보안 정책을 대표한다고 설명했는데요. 일전에 발생했던 개인 정보 유출 사례와 같이 이번에도 이용자의 위치를 추적해 개인 정보를 동의 없이 사용한다고 비판한 것입니다.

그리고 위협의 정도와 기준을 누가, 어떻게 정하는지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도 매체는 지적했습니다. 마크 저커버그 CEO, 세릴 샌드버그 COO를 욕하는 것만으로도 블랙리스트에 올라갈 수 있다는 겁니다. 또한 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이용자들은 자신이 감시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른다는 것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죠.

(출처:bloomberg)
(출처:bloomberg)

해당 리스트와 관련해 페이스북은 “보안팀은 페이스북 직원들을 무사히 보호하기 위해 존재한다”라고 해명했습니다. 기준에 대해서는 “직원과 회사에 대한 폭력 위협 등을 평가하고 해결하기 위해 업계 표준적인 수단을 사용하며, 필요하다고 여겨질 시 사법 기관에 회부한다. 위협이 될 수 있는 감시 대상이 근처에 있을 경우 사법 기관에 도움을 받기 위해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필요한 조치다”라고 덧붙였고요. 그러면서 이용자들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있음을 한 번 더 강조했습니다.

페이스북이 적절한 해명을 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기준에 대해서는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겠습니다. 전 보안 직원들이 리스트 기준에 대해 주관적이라고 지적하고 있는 만큼, 기준을 공개한다면 논란이 쉽게 가실 것이란 생각이 드네요.

전다운 기자 jdw@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