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와 한양대학교가 공동 연구 개발한 5G 자율주행차가 혼잡한 서울 도심 도로 주행에 성공했다.

한양대학교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 ‘ACE Lab(교수 선우명호)’과 LG유플러스(대표 하현회)는 11일 한양대학교 서울 캠퍼스 HIT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세계 최초 5세대 이동통신(이하 5G) 기반의 도심도로 자율주행 기술을 공개 시연했다.

이날 시연은 국토교통부 사전 허가 하에 진행됐다. 자율주행차 'A1'의 운전석 탑승자는 ‘자율주행 모드 ON’ 스위치를 누른 후 도착할 때까지 조종대에서 손발을 뗐다. 성수동 한강사업본부에서 출발한 A1은 강변북로-영동대교-올림픽대로-성수대교를 거쳐 서울숲 공영주차장에 도착하는 약 8Km의 거리를 25분 동안 스스로 주행했다.

11일 서울 도심 도로 주행에 사용된 자율주행차 A1의 모습
11일 서울 도심 도로 주행에 사용된 자율주행차 A1의 모습

시연에 사용된 5G 자율주행차는 ACE Lab에서 개발한 ‘A1(에이원)’이다. A1에 적용된 자율주행 인공지능(AI)는 미국 자동차 공학회(SAE) 분류 기준 중 4단계 ‘고도 자율주행’에 가깝다. 운전자 개입 없이 스스로 주행이 가능하며, 지난해 말 상용화한 구글 웨이모의 자율주행 택시와 같은 수준이다.

차량간 대용량·초고속·저지연 통신의 5G는 자율주행차와 결합해, 기존 센서가 갖는 인식거리, 사각지대, 외부정보 등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AI는 비가시권 영역에서의 추돌 방지, 신호등 정보 파악, 보행자 추돌 경고, 도로 정체 및 날씨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시연에 선보인 A1은 라이다(Lidar), 카메라, 레이다(Radar) 등 다양한 센서가 탑재됐으며, LG유플러스의 5G 통신망 기반의 C-V2X 기술이 더해졌다.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설명에 나선 LG유플러스 FC부문 강종오 담당은 기존 센서에서 전달되는 정보와 함께 ▲고정밀 GPS 측위 ▲다이내믹 정밀지도 ▲자율주행 관제 등 ICT 플랫폼 정보까지 융합해 자율주행기술 완성도를 높인다고 설명했다.

고정밀 GPG 측위로 오차를 줄이고, 신호등까지 파악하는 정밀지도를 통해 센서가 보지 못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광범위한 5G 자율차량간 관제로 실시간 교통통제에도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내용이다. 그 외에도 탑승자는 자율주행으로 남는 시간을 활용해 차량 이동 중 업무를 보거나 VR 같은 인포테인먼트 서비스까지 받아볼 전망이다.

이날 시연 현장에서 만난 ACE Lab 조성진 연구원도 “자율주행차에 장착된 센서가 인식하지 못하는 정보와 위치정보, 차량간 정보 공유 등을 5G를 통해 실시간 저지연으로 주고받음으로써, 현 단계의 자율주행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며 5G 기술과 결합한 자율주행기술의 미래를 가늠하고 있었다.

11일 서울 도심 도로 자율주행 시연에 사용된 A1에는 라이다, 레이다, 카메라, 측면 센서 등 여러 장치가 탑재됐다.
11일 서울 도심 도로 자율주행 시연에 사용된 A1에는 라이다, 레이다, 카메라, 측면 센서 등 여러 장치가 탑재됐다.

한양대학교 ACE Lab 선우명호 교수는 “5G를 기반으로 하는 미래 자율주행차 모델은 산학연 협력을 통해 기술 진화가 급속도로 이뤄지고 있다”라며 “특히 통신-자동차 산업간 빠른 융합을 기반으로 궁극적으로는 운전대와 페달 없는 완전 무인차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 FC부문장 이상민 전무는 “5G 통신망의 초저지연성은 자율주행차의 안정성을 높여줄 핵심 요소로 꼽힌다”라며 “한양대학교 ACE Lab(에이스랩)의 앞선 자율주행 기술과 LG유플러스의 5세대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공동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기자간담회에서 LG유플러스는 자율주행차를 직접 개발하는 게 목적이 아니라, 우수한 자율주행 기술력을 가진 제조사와 협력하고 5G 통신인프라를 지원해 보완하는 것이 통신사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LG유플러스는 5G로 이뤄지는 차량간이동통신(V2X)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함께, 해킹 등 보안 문제 해결에 집중할 방침이다.

한양대학교 ACE Lab과 LG유플러스 관계자들이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한양대학교 ACE Lab과 LG유플러스 관계자들이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이번 시연이 세계 최초의 5G 자율주행차 시연이라고 소개했다. KT와 SK텔레콤도 이보다 앞서 평창과 시흥에서 5G 기반 자율주행 도로주행을 선보인 바 있지만, 당시 시연은 미리 준비된 환경에서 진행된 것이므로 완벽한 5G 자율주행 시연으로 보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오늘 시연을 위해 주행 구간 8km마다 5G 중계기를 설치해 실제 5G 환경에서 이뤄지는 자율주행을 구현했으며, 혼잡한 도로에서 일반 차량과 함께 주행하는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자율주행차 서비스 상용화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된 바가 없다. 선우 교수는 기술적으로만 본다면 1~2년 내에도 상용화가 가능하겠지만, ▲자율주행차 센서 핵심 기술이 모두 외국 군사 기술에 의존하는 점 ▲카풀 서비스도 민감하게 반발하는 국내 업계 사정 ▲관계부처의 복잡한 절차와 규제 등을 들며, 현실적인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했다. 그는 구글 웨이모와 중국 바이두 사례를 들고, 이에 비해 뒤처진 현재 국내 자율주행차 연구 성과의 원인을 분석하며 아쉬워했다.

김광회 기자 (elian118@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