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넥스트데일리 DB
사진=넥스트데일리 DB

바이오의약품의 복제약인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빗장이 마침내 풀린다. 국내 기업들 역시 이에 주목하며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바이오의약품은 생물 세포나 조직 등의 유효물질을 이용한 치료제를 말한다. 바이오시밀러는 이 치료제의 복제약으로 동등생물의약품 또는 FOB(follow-on biologics)라고도 불린다. 오리지널 제품인 바이오의약품과 동등한 품목·품질을 갖췄으며 고가의 오리지널 의약품보다 저렴한 장점이 있다.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최근 고공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바이오시밀러 시장 역시 확대되는 중이다. 시장조사업체 프로스트&설리반에 따르면 올해 바이오시밀러 시장 규모는 지난해(160억5000만 달러)보다 약 50% 늘어난 240억8800만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특히 특허권을 보유한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특허가 올해 연이어 만료된다. 바이오시밀러가 복제약인 점을 감안하면 오리지널 제품의 특허가 끝나야 바이오시밀러 출시가 가능하다. 즉 바이오의약품 특허가 만료되면 시점을 기준으로 바이오시밀러가 쏟아질 예정이다.

실제로 올해 중으로 바이오 신약 50종의 특허가 만료된다. 그중에는 연매출 1조원이 넘는 '글로벌 블록버스터‘ 제품도 포함돼 있다. ▲허셉틴 ▲아르제라 ▲포스테오 ▲오렌시아 ▲아바스틴 등이 그 주인공으로 아바스틴의 경우는 연매출이 7조5000억원에 달한다.

여기에 세계 최대 제약 시장인 미국으로의 바이오시밀러 진출도 한결 수월해졌다. 그동안 미국 시장은 다른 시장에 비해 진입하기 상당히 까다로웠다. 하지만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바이오시밀러를 권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바이오시밀러 시장을 정조준하고 있다. 바이오시밀러 강자인 셀트리온은 '레미케이드'의 복제약인 '램시마'를 비롯해 '허쥬마' '트룩시마' 등으로 이미 유럽과 미국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도 '휴미라'의 바이오시밀러 '임랄디'와 '온트루잔트' 등으로 미국 시장을 노크하고 있다. '네스프'의 복제약을 개발한 종근당과 동아쏘시오홀딩스 등도 해외 진출을 추진하며 바이오시밀러 시장 진입에 집중하고 있다.

또 유한양행은 치료제 후보물질 제조기술을 수출하며 바이오 강국의 위상을 높였으며 한미약품과 GC녹십자, SK바이오팜 등도 미국 등 글로벌 시장을 노리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바이오의약품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오리지널 제품의 특허가 끝나면 바이오시밀러가 대거 등장하며 치열한 경쟁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황재용 기자 (hsoul38@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