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너 중심의 한국 기업들은 미국과 일본 기업들은 전문경영인을 CEO로 영입하고 합당한 고액의 연봉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CEO스코어 제공
오너 중심의 한국 기업들은 미국과 일본 기업들은 전문경영인을 CEO로 영입하고 합당한 고액의 연봉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CEO스코어 제공

오너 중심의 한국 기업들은 미국과 일본 기업들은 전문경영인을 CEO로 영입하고 합당한 고액의 연봉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미·일 3국의 최고경영자(CEO) 보수 ‘톱10’을 분석한 결과 일본은 10명 전부, 미국은 8명이 전문경영인인데 반해 한국은 4명에 그쳤다. 한국의 경우 나머지 6명은 오너 경영인이었다.

최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한‧미‧일 3국의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 최고경영자(CEO) 보수 ‘톱10’을 분석한 결과 일본은 10명 전부, 미국은 8명이 전문경영인인데 반해 한국은 4명뿐이었다. 한국의 경우 나머지 6명은 오너 경영인이었다고 밝혔다.

각국 상위 10명의 보수 총계는 한국이 1006억원이었으며 미국은 5091억원, 일본은 1306억원이었다.

3개국을 통틀어 보수 총액이 가장 많은 경영인은 미국 반도체 회사 브로드컴의 CEO 호크 탄으로, 한국 상위 10명의 보수를 합친 금액보다도 100억원 가까이 많은 1103억원에 달했다.

한국은 삼성전자의 권오현 부회장이 244억원으로 1위였고, 일본은 최대 유통회사인 세븐앤아이홀딩스의 조지프 마이클 데핀트가 241억원으로 가장 많은 연봉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 보수 상위 10명 중 오너일가가 6명으로 전문경영인보다 많았다.

오너 경연인으로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152억원),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109억원),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80억원), 허창수 GS그룹 회장(73억원),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66억원),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62억원) 등이었다.

전문경영인은 권오현 부회장, 신종균 삼성전자 부회장(84억원), 윤부근 삼성전자 부회장(77억원), 최치훈 삼성물산 사장(58억원) 등으로 모두 삼성그룹 소속이었다.

다만 한국의 경우는 임원 보수 공개 대상이 연 5억원 이상 받는 상장사 등기임원이기 때문에 미등기임원으로 등재된 오너일가에 대한 보수는 알 수 없었다고 한다.

한국과 달리 미국은 보수 상위 ‘톱10’ 중 4위와 10위를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전문경영인이었다.

브로드컴의 호크 탄 CEO 다음으로 다우듀폰의 앤드류 리버리스 회장(702억원)과 컴캐스트 스티븐 버크 부사장(497억원)이 2~3위에 올랐다.

세계 최대 데이터베이스 회사인 오라클의 경우 미국 CEO 보수 '톱10'에 4명이나 이름을 올렸다. 오라클 창업자인 래리 앨리슨은 지난해 441억원으로 4위를 기록했고 마크 허드 오라클 사장(436억원) 5위, 사프라 카츠 사장(435억원) 6위, 토마스 쿠리언 제품개발책임자(382억원) 8위 등이었다.

특히 사프라 카츠 사장은 한‧미‧일 3국의 보수 총액 톱10에 유일하게 포함된 여성 경영인이었다.

애플의 경우는 6명의 전문경영인이 모두 20위권 밖에 머물렀다. 특히 팀쿡 대표는 137억원으로 105위에 그쳐 최고경영자이지만 애플 전문경영인 중 가장 보수가 낮았다. 안젤라 아렌츠 수석부사장(259억원), 조니 스루지 수석부사장(258억원), 댄 리치오 수석부사장(258억원), 브루스 시웰 수석부사장(258억원)이 근소한 차로 26위부터 29위를 차지했다.

일본은 보수 총액 상위 10명이 모두 전문경영인이었다. 특히 세븐일레븐의 조지프 마이클 데핀트 다음으로 로널드 피셔 소프트뱅크 부회장(202억원), 마르셀로 클라우레 최고운영책임자(COO)(138억원), 라지브 미스라 이사(124억원), 미야우치 켄 부사장(87억원) 등 소프트뱅크의 전문경영인이 나란히 2~4위와 9위로 톱10에 4명이나 포함됐다.

이어 크리스토프 웨버 타케다제약 CEO(122억원), 디디에 르로이 토요타 부사장(103억원), 히라이 카즈오 소니 회장(91억원), 가와이 도시키 도쿄일렉트론 사장(76억원) 등이 톱10에 포함됐다.

이번 조사는 각국 보수 공개 기준에 따라 결산 보고서에 공시된 임원을 대상으로 했다고 한다. 국가별 임원 보수 공개 대상은 한국의 경우 연 5억원 이상 받는 상장사 등기임원으로 한정되지만 미국과 일본은 미등기임원도 공시 대상에 포함됐다. 미국은 상장사의 최고경영자(CEO)와 최고재무책임자(CFO) 외에 기업 내 최고 연봉자 3인 등 5인에 한하고 일본은 연 1억 엔(약 11억원) 이상 받는 상장사 임원이 공개대상이다.

정영일 기자 (wjddud@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