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업계가 ‘바이오 기술(Bio Technology, 이하 BT)’에 주목하며 관련 이름이 포함된 상표 등록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안’과 ‘안티에이징’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에 발맞춰 바이오 기술을 접목한 기능성 성분의 제품임을 강조하는 화장품 상표를 선점하기에 나선 것이다. 표=특허청 제공
화장품 업계가 ‘바이오 기술(Bio Technology, 이하 BT)’에 주목하며 관련 이름이 포함된 상표 등록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안’과 ‘안티에이징’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에 발맞춰 바이오 기술을 접목한 기능성 성분의 제품임을 강조하는 화장품 상표를 선점하기에 나선 것이다. 표=특허청 제공

화장품 업계가 ‘바이오 기술(Bio Technology, 이하 BT)’에 주목하며 관련 이름이 포함된 상표 등록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안’과 ‘안티에이징’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에 발맞춰 바이오 기술을 접목한 기능성 성분의 제품임을 강조하는 화장품 상표를 선점하기에 나선 것이다.

10일 특허청(청장 성윤모)에 따르면 화장품 분야에서 ‘바이오’ 관련 상표는 2013년부터 2017년 말까지 최근 5년 동안 총 6407건이 출원됐다. 이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 동안의 상품 출원 2484건에 비해 약 2.57배 증가했다.

바이오 관련 상표란 제품에 ‘바이오기술(BT)’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문구인 바이오(bio), 셀(cell), 더마(derma), 메디(medi), 닥터(dr.) 등의 문자를 포함하고 있는 상표를 말한다.

화장품 전체 상표 출원 중 바이오 관련 상표 비율은 최근 5년 동안 2013년 5.7%, 2014년 6.6%, 2015년 6.6%, 2016년 7.8%, 2017년 8.3%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0년(2008년~2017년)간 ‘바이오’ 관련 상표 출원 비중을 살펴보면 ‘셀(cell)’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상표는 2228건으로 가장 많이 사용됐다. 특허청 관계자는 “이는 세포재생 성분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와 ‘셀트리온(CELLTRION)’, ‘셀더마(CELDERMA)’와 같은 화장품 브랜드의 론칭이 반영된 결과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닥터(dr.)’ 1862건, ‘바이오(bio)’ 1451건, ‘랩(lab.)’ 1404건, ‘메디(medi)’ 873건, ‘더마(derma)’ 871건, ‘나노(nano)’ 202건 순이었다.

주요 출원 기업은 LG생활건강이 지난 10년 동안 총 373건을 출원해 최다 출원을 기록했다. 뒤를 아모레퍼시픽(319건), 해브앤비(134건), 엘앤피 코스메틱(62건), 에이피알(60건), 셀트리온(58건), 코리아나화장품(52건), 비오템(45건), 제닉(44건), 셀트리온스킨큐어(40건) 순으로 나타나 다출원 기업 10곳 중 9곳이 국내기업이다.

기업별 특징은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은 전통적인 화장품 다출원 기업으로 바이오 관련 상표 출원에서도 선두를 지켰다. 해브앤비는 의학적 기능성 성분을 강조하는 화장품 브랜드 ‘닥터자르트’를, 엘앤피 코스메틱은 ‘메디힐(MEDIHEAL)’을, 에이피알은 ‘메디큐브(MEDICUBE)’를 셀트리온은 ‘셀트리온(CELLTRION)을 각각 출시해 바이오 성분 제품 시장에서 치열한 물밑 경쟁을 벌였다.

내·외국인 비율을 보면 지난 10년 도안 내국인 출원건수는 총 7454건, 외국인 출원건수는 총 911건으로 10건 중 9건이 내국인(기업 포함)에 의한 출원이었다.

내국인 출원건수는 2008년(307건) 비해 2017년(1518건)에 394% 폭증했다. 반면 외국인 출원건수는 2008년(88건)에 비해 2017년(108건)에 22% 증가해 상대적으로 소폭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K뷰티’ 인기에 힘입어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액이 6조원을 기록하는 등 2015년 이후 매년 100%이상 성장하는 우리나라 화장품 업계의 성장세와 ‘바이오’ 상표를 선점하려는 국내기업의 경쟁이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박양길 특허청 상표심사2과장은 “최근 의약적으로 검증된 기능성 성분으로 제조한 화장품인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 제품의 인기를 감안할 때 ‘바이오’ 관련 상표에 대한 선호도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화장품 기업들의 바이오 상표에 대한 세심한 브랜딩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정영일 기자 (wjddud@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