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넥스트데일리 DB
사진=넥스트데일리 DB

담뱃갑에 흡연 경고그림이 부착됐지만 담배판매량이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경고그림의 금연 효과가 거품이라는 논란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담뱃값 인상 후 다양한 금연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금연치료 지원과 금연 캠페인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지난해 12월에는 담뱃갑에 흡연 경고그림을 도입했다.

하지만 정부의 이런 노력에도 지난 두 달간 담배 판매량이 증가했다. 올해 담배 판매량은 1월 2억8000만갑에서 2월 2억3800만갑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지난 3월 2억8200만갑으로 늘었으며 지난달에는 3억500만갑으로 3억갑대를 넘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연초 금연 결심으로 감소한 판매분이 3월과 4월 다시 늘어 2개월간 담배 판매량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또 정부에 따르면 담뱃값 인상 전인 2014년 4월과 올해의 담배 판매량을 비교하면 판매량이 20.8% 감소했다.

여기에 정부는 2012∼2016년 분기별 평균 금연클리닉 등록자 수와 담배 판매량 추이를 근거로 이 설명에 무게를 실었다. 실제로 금연클리닉 평균 등록자 수는 1분기 14만6000명, 2분기 11만명, 3분기 9만2000명으로 감소했지만 평균 담배 판매량은 1분기 8억7000만갑, 2분기 10억1000만갑, 3분기 11억갑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담배업계와 흡연자단체들은 흡연 경고그림 효과에 의문을 제기했다. 정부가 담뱃값 인상과 함께 가장 강력하게 추진한 금연정책이 흡연 경고그림 도입이기 때문이다.

정부의 기대와 달리 현재 대다수의 흡연자들은 혐오감을 주는 경고그림에 무덤덤해진 상황이다. 경고그림 정책이 시행된 직후에는 담배 케이스 등으로 경고그림을 가렸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경고그림에 익숙해졌다는 얘기다.

여기에 편의점 등에서 제공하는 '매너 라벨' 등으로 경고그림의 실질적인 효과가 떨어진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술집이나 음식점 등이 같은 지역의 편의점 등에 스티커를 제공하고 이곳에서 다시 담배 구매자에게 이를 나눠주는 것이다. 현재 정부에서는 이를 규제할 수 있는 관련 법규가 미미한 상태다.

황재용 기자 (hsoul38@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