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사회는 돈은 있지만 시간이 없는 사람과 시간은 있지만 돈이 없는 사람으로 나뉘고 있다. 온디맨드 경제는 이 두 부류의 사람들이 서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정주환 카카오 부사장은 디 이코노미스트‘에 언급된 말을 인용해 사람과 오프라인 비즈니스 연결에 대해 설명했다.

정주환 카카오 O2O사업부문총괄 부사장
정주환 카카오 O2O사업부문총괄 부사장

정주환 카카오 O2O사업부문총괄 부사장은 30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개최된 한중 모바일 비즈니스 포럼 2016‘에서 카카오 O2O 출발점과 발전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O2O는 이미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글로벌 O2O, 온디멘드 기업가치를 살펴보면 우버의 경우 680억 원, 한화 약 81조원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전세계 비상장 기업 중 1위다. 이 정도 규모라면 카카오 10개 회사가 합친 정도의 가치에 준한다. 그만큼 시장 규모가 크다는 설명이다. 에어비앤비는 260억 원, 중국 디디콰이디는 250억 원 등 가치가 매우 높다. 게다가 최근 중국 기업들이 부상하고 있다는 점 또한 주목된다.

정 부사장은 “국내 온라인 광고 시장 규모는 3조원,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 규모는 2조3000억 원 수준이지만 국내 O2O 시장은 오프라인커머스만 320조 원이 될 정도로 넓다”라며, “이렇게 높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어떻게 연결할까가 고민이었다”라고 운을 땠다.

과거에도 온디멘드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었다. 다만 PC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공간적 제약이 따랐다. 그러다보니 거래되는 상품은 음악과 영상 등 디지털재화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었다. PC에서 모바일로 옮겨가면서 누구나 시공간적 제약을 벗고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연결돼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게 됐다.

정 부사장은 “모바일로 체제 전환이 이뤄지면서 디지털 재화가 아니라 실질적인 오프라인 서비스를 온디맨드 온타임으로 가야 했고, 카카오는 어떻게 해야될 지 고민이 따랐다”고 말했다.

정 부사장은 O2O 시장 진입을 위해 크게 4가지 영역을 살펴봤다고 설명했다. 사람과 사람의 연결과 사람과 정보의 연결, 오프라인 비즈니스와의 연결, 사물의 연결 등이다. 이들이 실질적으로 어떤 가치를 주는가를 알기 위해 실질 생활 영역을 살펴보기도 했다. 그 속에 불편함을 겪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이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대안이 O2O라 본 것.

사람들의 생활영역을 살펴보면 필수생활시간이 10.8시간, 의무생활시간 8시간, 여가생활시간은 5.1시간 정도로 구분된다. 카카오는 이 중 연령대와 직업군을 벗어나 공통적으로 소모되는 시간이 바로 이동시간인 1.8시간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카카오가 O2O 시장 진입을 위해 이동수단부터 집중한 이유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카카오는 ‘카카오택시’를 시작으로 ‘카카오내비’, ‘카카오버스’, ‘카카오지하철’, ‘카카오드라이버’ 등 다양한 이동수단 O2O 서비스를 론칭했다.

카카오가 서비스를 론칭하며 중요하게 내세웠던 것은 효과적인 연결과 제품화된 서비스였다. 사용자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구조를 잘 만들어야 했고, 다양한 서비스와의 연계로 고려해야 했다는 후문이다.

정 부사장은 “대리운전을 예로 들면 비용이 천차만별이고, 운전자도, 받는 사람도 서비스질에 대한 높낮이가 달라 효율이 떨어졌다”며, “공급하는 곳이 효과적으로 신뢰성을 만들기 위해서는 구조화가 필요했다. 그래서 대리운전자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매뉴얼을 나눠주기도 하고, 미터기를 통해 요금도 표준화했다. 보험의 경우에도 호출 건수에 따라 지불하게끔 바꿨다”고 강조했다. 아이템보다는 구조에 집중하고 있다는 의미다.

물론 어려움도 따랐다. 정 부사장은 “택시 사장에게 제안을 드리기 위해 찾아갔는데 그 곳에는 컴퓨터가 없고 전화기만 두 대, 책상에는 초록색 융이 깔려 있고 이면지와 메모지, 펜 등이 있을뿐 컴퓨터 한 대도 없는 게 태반이었다”라며, “네이버, 다음도 잘 모르고 이메일을 보내면 두달 뒤 확인한다. IT에 먼 분들이었다”고 토로했다.

카카오는 택시 사장들에게 IT를 체감시키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했다. 카카오톡을 설명하는데도 3번의 미팅이 필요할 정도였다. 각고의 노력 끝에 카카오는 택시뿐만 아니라 대리운전, 나아가 보험업체와도 협력해 다양한 O2O 이동수단에 대한 구조화 작업에 성공했다.

정 부사장은 “1년 3개월이라는 시간이 지난 카카오택시의 경우 1억3700만 건의 호출이 발생했따. 카카오택시 사용자가 13번 정도 부른 수치다. 거래액으로 따지면 조 단위가 넘는다”라며, “1명의 기사에게 200명을 연결해줄 수 있는 정도로 성장했다. 전국 택시기사의 91%가 카카오택시를 이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카카오는 중소기업과의 상생에도 힘쓰고 있다. 최근 출시된 카카오 O2O 서비스 대부분이 중소기업과 연관됐다. 카카오버스와 카카오지하철은 서울버스와 서울지하철을, 카카오내비는 김기사로 유명한 록앤올을 인수해 이뤄졌다. 카카오드라이버도 3년간 이 분야에서 노력한 말대리와의 협업으로 탄생했다.

또한, 카카오는 종사자의 직업 가치를 증대시키는 것도 중요하다고 지목했다. 정 부사장은 “어떤 이들은 천시하는 직업일지라도 직접 일하는 종사자는 그 분야에 굉장히 자부심이 높은 사람들로 구성돼 있다. 이들의 직업 가치를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라며, “카카오택시를 살펴보면 전국 평균적으로 매출이 13% 증대했으며, 가가오드라이버의 경우 1인당 연간 200만 원 이상 수익증대를 경험할 수 있을 정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문기 기자 (moon@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